본문 바로가기

Infomation

XSplit로 Youtube 방송하기

http://m.blog.naver.com/dldbdgml99/220791520778


서론 없이 방송하는 방법에 대한 본론만 보고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빨간 줄부터 읽어주세요.()


요즘 개인방송의 시청자가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먹방, 뷰티, 음악방송 등 다양한 방송의 테마가 있지만 역시 가장 대중적이고 시청자가 많은 방송은 게임 방송입니다. 게임 방송이 이렇게까지 뜰 수 있었던 건 지금까지는 전문가가 장비를 갖춰야 송출할 수 있었던 "방송"이라는 개념이 이제는 개인도 프로그램만 있으면 쉽게 송출할 수 있을만큼 진입장벽이 낮아졌기 때문에 많은 실력있는 플레이어들이 방송에 뛰어들 수 있었던 덕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아프리카TV는 방송 송출/시청용 클라이언트를 직접 만들어서 초보자도 아주 쉽게 방송을 할 수 있게 해 인터넷방송 시대를 열었죠.


아프리카를 포함해 우리나라에서 방송으로 대중적인 플랫폼은 크게 두 곳입니다. 나머지 한 곳은 바로 다음 TV팟으로, 아프키라와 함께 양대 산맥을 이루고있다고 할 정도로 대중적입니다. 둘 다 특징은 쉽게 방송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가 있다는 것입니다.


오늘 설명드릴 플랫폼은 아프리카도 다음팟도 아닙니다. 위의 두 플랫폼은 방송 송출용 클라이언트만 설치하면 누구든지 쉽게 방송할 수가 있으므로 따로 설명을 드릴 필요도 없습니다. 대신에 트위치, 유튜브에 스트리밍을 송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얘기해 보겠습니다.


우선 트위치, 유튜브가 아프리카, 다음팟에 비해 나은 점을 말씀드리자면,


첫번째로 화질입니다. 트위치, 유튜브는 방송 송출 화질에 대해 딱히 제한을 두고있지 않습니다. 원하면 1440p 60fps 방송까지 가능합니다.(제가 여기까지 해봤는데, 그 이상 화질은 제 모니터가 작아서 안해봤습니다) 또한 60프레임 방송이 가능하고, 비트레이트에도 딱히 제한을 두고있지 않습니다. 일부 해외 커뮤니티에서, 트위치는 파트너가 아닌 방송인이 1080p 이상의 방송을 송출하면 블럭될 수 있다는 괴소문이 있었는데, 트위치에 직접 확인해 보았습니다. 그런 제한은 적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두번째로는 쉬운 시청입니다. 아무래도 방송인 입장에서는 송출용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하긴 합니다. 하지만 시청자 입장에서는 더없이 편하게 시청하는 게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TV의 경우 클라리언트를 설치하거나 silverlight를 설치해야 방송을 볼 수 있습니다. 고화질 방송은 클라이언트를 설치해야만 볼 수 있구요. 다음팟 역시 웹플레이어를 제공하긴 하지만 외부 사이트에 링크하기가 매우 어렵고, 좋은 화질로 시청하기 위해서는 다음팟플레이어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 팟플레이어는 그나마 대중적인 플레이어라 아프리카TV만큼 불편하진 않더라구요.


하지만 트위치, 유튜브는 아무런 설치 없이 웹에서 바로 시청이 가능합니다. 최고화질까지 제한없이 말입니다. 두 사이트 모두 이제 HTML5 플레이어를 지원하여 플래시 없이도 시청이 가능합니다. 유튜브의 경우 네이버에서 아이프레임 태그를 풀어주었기 때문에 네이버 커뮤니티에 아예 방송 자체를 링크하여 해당 게시글에서 바로 시청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세번째로는 자유로운 방송입니다. 둘 다 외국계 회사라 규정이 국내에 비해 빡빡하지 않고 술, 담배 등의 컨텐츠가 송출되어도 상관없습니다. 또한 둘 다 API를 공개하고 있으므로 쉽게 응용 프로그램에 활용하는 게 가능합니다.


또한 이건 트위치에만 해당되는 것인데, 트위치에서 방송이 인기를 얻으면 파트너(Partner)가 되어 트위치에게 월급 방식으로 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평균 시청자 수가 300명 이상인 경우 트위치에 신청하면 됩니다.(최고 시청자 수가 아닙니다. 평균 시청자 수입니다) 지금 2016년 8월 기준으로 이 제도는 여전히 시행되고 있으며, 후일 사라질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파트너로 선정되면 저마다 월급이 다르긴 한데, 제가 본 것 중 최소가 월 300만 원입니다. 이 분은 거의 시청자 수가 300, 400명대로 커트라인 바로 위에서 방송하는 분이신데 이 정도를 받는 걸 보면 아마 이게 거의 최저치가 아닌가 싶습니다. 아, 트위치에서 파트너로 선정되면 한 달에 몇 시간 이상 방송을 해야합니다. 정확한 시간은 제가 파트너가 아니라 모르겠습니다.


물론 트위치, 유튜브의 단점도 있습니다. 일단 국내에서 크게 대중적인 플랫폼이 아니라 시청자를 쉽게 확보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는 유명 방송인들이 트위치, 유튜브로 스트리밍을 옮겨가지 않아서인데, 이들이 옮겨가지 않는 이유는 역시 시청자의 후원이 아프리카TV, 다음팟TV에 비해 불편하다는 것입니다. 즉 후원받기 어렵다는 점도 단점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어떤 분은 다음팟, 유튜브에 동시 송출을 하기도 하시더라구요. 아프리카TV BJ 분들은 방송 하이라이트를 편집해서 올리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기도 합니다.



자 이제부터 본론입니다. 어떻게 하면 트위치, 유튜브에 방송을 송출할 수 있을까요.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1단계 : 방송 송출 프로그램 선택


방송 송출 프로그램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들은 어느 플랫폼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방송을 송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어떤 플랫폼에 송출할지는 프로그램 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트위치에서 권장하는 송출 프로그램


XSplit과 Wirecast Play, Elgato Game Capture HD60, OBS는 두 회사에서 공통으로 추천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저는 여기서 XSplit과 OBS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둘 중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할지 선택해 주세요. 아직 아무런 정보가 없으니 선택하기 어려우시죠? 몇가지 비교를 해 드리겠습니다.


가격

XSplit은 유료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무료 버전으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처음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한 달간 최상위 라이센스인 프리미엄 라이센스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저도 처음에 XSplit으로 시작했습니다. 한 달이 지난 바로 다음날, 저는 이제 무료버전으로 해야겠네 하는 생각으로 XSplit을 실행했는데,


"당신의 프리미엄 무료 체험 기간은 끝났습니다. 아쉬우시죠?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당신을 위해서 오늘 마지막 하루 더 무료로 프리미엄 라이센스를 사용해 방송할 수 있게 해 드리겠습니다!"


이런 메세지가 나오면서 하루 더 연장해 주더라구요. 이거 보고 살짝 감동했습니다. ㅋㅋㅋ 아무튼 XSplit의 무료 체험 기간은 한 달 + 하루입니다.


XSplit은 두가지 프로그램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하나는 Gamecaster, 하나는 Broadcaster입니다. 이름만 봐도 각각 어떤 용도인지 아시겠죠? Gamecaster는 게임 방송을 하는 데 특화된 프로그램이며, Broadcaster는 게임 화면도 포함하여 컴퓨터 화면도 녹화하고 화면전환도 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쓰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제가 둘 다 써봤는데, 성능 상 게임 방송을 할 땐 Gamecaster가 낫습니다. 백배 천배 낫습니다. 컴퓨터 사양이 서버급이거나 방송 송출용 세컨드 컴퓨터가 있는 경우에는 Broadcaster로 게임 방송을 송출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XSplit 무료 체험 버전이 되어도 여전히 모든 게임에 대해 어떤 플랫폼이든 방송 송출이 가능합니다. 해상도 역시 제한이 없습니다. 하지만 몇가지 바뀌는 게 있습니다.


1. 60fps 방송 불가 : 최대 30프레임까지 지원됩니다. 유료 버전에서는 240프레임까지 지원합니다.

2. 오디오 비트레이트 및 채널 : 스테레오 오디오 송출이 지원되지 않고, 비트레이트도 96kbps로 제한됩니다. 유료 버전은 제한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듣는 음악이 320kbps, 우리가 보는 방송의 음질이 192kbps라고 보시면 됩니다.

3. 720p 이상의 해상도로 방송 송출 시 XSplit 워터마크가 방송에 표시됩니다. 그렇다고 대문짝만하게 붙진 않습니다.

4. 크로마키 사용 불가(녹색 배경을 활용해서 방송인 외의 다른 물체를 투명하게 하는 효과)


유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가지 라이센스가 있습니다. 개인(Personal) 라이센스와 프리미엄(Premium) 라이센스가 있는데, 3년 라이센스를 한꺼번에 구입 시 최대 할인이 들어갑니다. 개인 라이센스는 월 2.5달러프리미엄 라이센스는 월 4.17달러입니다. 이하는 개인 라이센스와 프리미엄 라이센스의 비교 표입니다.(2016년 8월 기준 확인, 여기서 바뀌면 알려주세요)



OBS는 무료 프로그램입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서 완전히 무료로 개방되어 있고, 아예 상업적 이용까지 허가됩니다. 아무런 기능의 제한이 없습니다.


기능


XSplit은 일단 기본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것들은 다 갖추었습니다. 게임 화면을 방송으로 송출하고, 또 녹화하는 기능이 있으며, 웹캠을 화면의 원하는 위치에 띄우는 기능, 이미지를 화면에 띄우는 기능, 대기화면 기능 등이 있습니다. 여기에 트위치와 연동되는 기능들이 특히 많습니다. 채팅창 오버레이 기능(유료버전), 구독자, 팔로워 알림 기능(유료버전) 등이 있습니다.


OBS도 역시 기본적인 방송 기능은 다 있습니다. 무료 프로그램이라 XSplit에 비해서는 많은 기능이 없을 거라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위에서 제가 OBS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라고 말씀드렸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말 그대로 프로그램의 소스와 API를 모두 공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래서 3자가 해당 프로그램을 개조할 수도 있고, 또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플러그인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OBS 홈페이지에 가면 수십 개의 플러그인들이 있으며, XSplit에서 지원하는 트위치 연동 기능들도 이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절대 XSplit에 비해 부족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성능


성능은 사실 컴퓨터 CPU 제조사와 그래픽카드 등에 따라 많이 갈리는 것 같습니다. 저는 i7-5930k 4GHz 오버클럭 버전의 CPU와 GTX980 그래픽카드를 사용중입니다만, 개인적으로 봤을 땐 OBS가 가볍고 성능이 좋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다른 커뮤니티에서 어떤 분은 또 XSplit이 점유율도 낮게 차지하고 더 최적화되어있다고 하더라구요. 이건 정말 제가 뭐가 낫다고 말씀드리기가 어려우니 혹시 성능 문제로 고민중이시라면 둘 다 한 번씩 써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기타


XSplit은 계정이 있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라이센스도 이 계정을 따라가며, 그러므로 동시에 두 곳에서 방송하는 건 불가능합니다...만, 크랙이 돌아다니는 것 같군요. 역시 


여기서부터 XSplit을 사용하실 분들은 _X 단계를, OBS를 사용하실 분들은 _O 단계를 따라가 주시면 됩니다.


2_X단계 : XSplit 설치/세팅하기


>>XSplit 홈페이지 바로가기


위 링크를 클릭하여 XSplit 홈페이지로 가시면 아래와 같이 두 프로그램의 로고가 크게 뜰 것입니다.



우리는 게임방송을 할 것이므로 오른쪽의 Gamecaster를 클릭하여 게임캐스터 페이지로 들어가 줍시다.



그리고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최신 버전의 XSplit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처음 실행하면 이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게임캐스터에는 프로그램 내에 방송 시작 버튼이 없습니다. 당황하지 마시고 일단 세팅을 합시다. 상단의 탭들 중 "세팅" 탭을 클릭해 세팅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여러가지 세팅들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부터 보자면, 먼저 맨 아래의 단축키 설정에서 원하는 동작에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단 가장 중요한 "오버레이 (보이기 / 숨기기) 의 단축키가 CTRL+TAB 으로 되어있는데 이걸 기억해 둡시다. 그 외의 단축키는 크게 쓸모가 없습니다. 어차피 오버레이를 켠 동안의 오버레이는 방송에 나가지 않습니다.


바로 위의 상태표시줄과 워터마크 탭에서는 게임 내에서 표시할 정보들이 어디에 표시되는지 정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 역시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들에게는 보이지 않습니다.


그 위의 BRB 그래픽이란 게임캐스터에서 게임을 방송하다가 게임 화면을 최소화했을 때 나오는 화면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는 저기 보이는 이미지가 나오고, 사용자가 커스터마이징할 수가 있습니다.(유료버전)


저는 체험 기간동안 이런 이미지를 사용했습니다.



그 위의 "장치" 설정 부분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마이크와 웹캠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는 헤드셋 마이크와 기타 마이크가 있을 경우 그 중에 고르면 되는데, "기본"으로 설정하게 되면 윈도우에서 기본 장치로 설정되어 있는 장치를 사용하게 됩니다. 카메라의 경우 연결하면 선택이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맨 위의 게임 캡처 설정입니다. 가장 중요합니다. 본인의 컴퓨터 성능과 네트워크 대역폭에 맞는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방송 세팅의 오른쪽에 톱니바퀴 모양을 누르면 세부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은 제가 정답을 알려드릴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설정을 조정하며 방송을 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옵션을 찾으셔야 합니다. 다만 코덱의 경우 x264가 다른 코덱보다 좋다는 내용을 인터넷에서 본 적이 있으니 왠만하면 x264를 사용하시길 추천합니다.


해상도는 말 그대로 방송을 통해 송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말합니다. 16:9 와이드 모니터로 전체화면 게임을 하는 경우 720p 해상도는 1280x720 해상도를, 1080p는 1920x1080 해상도를, 1440p는 2560x1440 해상도를 송출합니다. 제 컴퓨터 기준으로는 1440p로 송출하면 60프레임이 자꾸 깨지더군요.


아래의 프레임레이트는 1초에 몇 개의 화면을 송출할 건지를 정합니다. 화면의 갯수가 많을 수록 부드럽게 방송되겠죠. 일반적으로 30프레임을 사용하고, FPS 게임같은 경우 60프레임을 사용합니다.


비트레이트는 자동으로 설정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만, 네트워크 대역폭이 높다면 수동으로 설정하시고 원하시는 비트레이트를 설정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플랫폼 선택을 위해 상단 메뉴 중 "계정"을 클릭합니다.



XSplit은 방송 송출을 위한 세팅을 하기가 굉장히 쉽습니다. 먼저 "라이브 스트리밍" 세팅의 오른쪽 화살표를 클릭하여 원하는 플랫폼을 선택한 뒤 Authorize to live stream on XXX 글자를 클릭하여 해당 플랫폼 계정으로 로그인하기만 하면 됩니다.


자 이제 방송을 위한 세팅이 모두 끝났습니다. 방송 제목 등의 설정은 트위치, 유튜브 등 해당 플랫폼에서 직접 하시면 됩니다.



트위치 : 로그인 후 우측 상단의 본인 아이디 클릭 => 채널 => 제목 편집


유튜브 : 크리에이터 스튜디오 => 실시간 스트리밍 메뉴 => 제목, 설명 편집


참고로 유튜브와 트위터 둘 다 게임명을 정확하게 입력해 주어야 해당 게임 방송 리스트에 잡힙니다.


2_O단계 : OBS Studio 설치/세팅하기


>>OBS 홈페이지 바로가기


우선 위 링크를 클릭하여 OBS 홈페이지로 갑니다.



그럼 위와 같이 OBS 홈페이지가 뜹니다. 영어라고 해도 프로그램 자체는 한글화되어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좌측 상단의 Get OBS Studio에서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을 내려받아 설치하시면 됩니다.



OBS Studio를 설치하고 처음 실행하면 이런 모습일 겁니다. OBS Studio는 XSplit Gamecaster와 달리 게임 방송 전용 프로그램이 아니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한 화면송출을 지원하는 반면 세팅해야할 것이 조금 있습니다. XSplit Broadcaster와 비슷한 프로그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먼저 좌측 하단의 "장면 목록"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장면 목록이란 하나하나의 장면을 저장한 리스트인데, 게임 방송을 하기 위해서는 일단 게임 화면을 녹화할 장면을 하나 만들어야 합니다. 장면 목록을 선택한 다음 오른쪽의 "소스 목록"에 내보낼 화면을 추가하여 해당 장면을 구성하는 것인데요, 게임 방송을 하실 거라면 "소스 목록"에서 + 버튼을 눌러 "게임 캡쳐" 소스를 추가합니다.


그리고 게임 캡쳐 소스의 속성은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이렇게 설정해 두면 굳이 게임이 아니라도 오버레이를 사용해 전체화면으로 켜지는 어떤 프로그램이든 캡처가 됩니다.


여기에서 만약 웹캠을 추가하고 싶다면 소스 목록에서 다시 +를 눌러 "비디오 캡쳐 장치"를 추가합니다. 그런 다음 웹캠의 크기를 조정하고 싶다면 메인 화면에서 웹캠이 출력되고 있는 부분을 클릭하여 사각형 크기 조절하듯이 조절하시면 됩니다.


여기에 추가로 게임 외의 컨텐츠가 방송에 나가야 한다면 화면 전체를 캡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단 왼쪽의 장면 목록에서 +를 눌러 새로운 장면을 추가한 다음, 오른쪽의 소스 목록에서 + 버튼을 눌러 "디스플레이 캡쳐"를 추가합니다. 만약 다중 모니터를 사용중이라면 속성에서 어떤 모니터를 캡처할 것인지 설정해 주면 됩니다. 그런 다음 이것 역시 메인 화면에서 크기를 조정해 꽉 채우시면 됩니다. 웹캠은 마찬가지 방식으로 추가하시면 됩니다. 덧붙여서 다른 장면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소스의 경우 새로 추가하지 마시고 기존의 소스에서 선택해서 추가하시기 바랍니다.


auto scene changer 플러그인을 사용하시면 게임을 켜면 자동으로 게임 장면으로 전환되고, 최소화를 하면 다시 자동으로 데스크탑 캡처로 바뀌게 됩니다.


다음으로는 우측의 "설정"을 눌러 방송 설정을 합니다.



XSplit과 달리 OBS는 직접 방송 설정을 세팅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먼저 위의 "서비스" 항목에서 본인이 원하는 방송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유튜브와 트위치를 기준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서비스를 선택하면 그 다음 스트림 키를 입력해야 합니다.



유튜브의 경우 크레이이터 스튜디오 => 실시간 스트리밍 페이지의 하단에서 스트림 키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표시" 버튼을 눌러야만 10초 정도 볼 수 있습니다. 이 키를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으면 누구든지 자신의 채널에서 실시간 방송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스트림 키는 반드시 자신만 알고있어야 합니다.



트위치는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자신의 아이디를 클릭하고 대시보드 => 방송 암호 키 페이지에서 "암호 보기" 버튼을 통해 볼 수 있습니다. 역시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되지 않게 주의해 주세요.



다음은 출력 메뉴입니다. 여기서는 방송 전송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OBS는 자동 비트레이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일단 3500으로 설정하고 방송한 뒤 높히거나 낮추는 식으로 조정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코더는 역시 x264를 추천드립니다.



해상도는 자신의 컴퓨터에 맞는 해상도를 설정하시되, 컴퓨터 사양이 낮으신 분들은 720p부터 시작해서 조금씩 올리며 테스트해보시길 권장합니다. FPS 값은 높을 수록 화면이 부드러워지는 설정입니다만, 60프레임 위로는 거의 체감하기 힘들고 또 대역폭도 매우 높아지므로 60 정도로 맞추시는 걸 추천합니다.



단축키의 경우 마이크와 웹캠을 안 쓰시는 분들은 저 정도만 해도 충분합니다. 자동 장면 전환 플러그인을 쓰시면 저것조차 딱히 필요가 없습니다.


이것으로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이제 방송만 시작하면 됩니다.


3_O단계 : OBS Studio로 방송하기


모든 세팅이 끝났으니 방송을 하면 됩니다. 방송을 하는 법은 매우 쉽습니다.


 


우측의 "방송 시작"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방송이 시작됩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정상적으로 유튜브에 방송이 나가고 있습니다. 공유하기를 통해 다른 곳에 방송을 링크하는 것이 가능하며, 채팅을 할 수도 있습니다.


데스크탑을 캡처하다가 게임을 켠 다음 방금 만들어놓은 단축키를 통해 게임 화면이 캡처되도록 장면 전환을 하면 부드럽게 게임 화면을 송출할 수 있습니다.


3_X단계 : XSplit Gamecaster로 방송하기



언급한 것처럼 XSplit 게임캐스터 프로그램에는 별도의 방송 시작 버튼이 없습니다. 게임을 켠 다음에 확인이 가능합니다.



위 XSplit 프로그램을 켠 상태에서 방송을 진행하고 싶은 게임을 켜면, 위와 같이 평소와 비슷한 상태로 게임이 실행됩니다. 여기서 Ctrl+Tab(위의 단축키 설정에서 설정을 바꿨다면 그것으로 입력)을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방송 설정을 위한 오버레이가 뜹니다.


여기서 맨 왼쪽의 "스트림" 버튼을 누르면, 트위치 기준으로 방송 이름과 게임 이름을 설정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


방송 제목과 게임명을 입력한 후 "방송 시작"을 누릅니다.


정상적으로 방송이 나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방송 서버와 시간차가 있기 때문에 완전히 같은 장면이 아니네요)



방송 중에도 이 오버레이 화면에 접근이 가능하며, 이 화면은 시청자들에겐 보이지 않습니다. 시청자들에게는 게임 화면만 계속 보입니다.
 

 


오버레이 화면에서 위 설정들을 통해 마이크 소리나 게임 소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오른쪽의 웹캠 버튼을 눌러 웹캠을 켜고 끌 수 있고, 오버레이 상태에서는 웹캠의 위치나 크기를 조절하는 게 가능합니다.



게임캐스터의 경우 쉬운 설명을 위하여 방송을 하는 화면을 녹화해 유튜브에 업로드했습니다.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번외) 트위치? 유튜브?


방송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만, 아직까지 트위치와 유튜브 중 어떤 곳에서 방송을 송출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으로 압니다. 일단 화질은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어차피 송출하는 프로그램에서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화질 차이는 없으나, 유튜브의 경우 시청자가 화질을 선택해서 시청할 수 있는 반면 트위치는 파트너가 아니면 시청자가 무조건 원본 화질로만 시청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고화질 방송을 송출할 때 일부 시청자는 매우 많은 버퍼링과 끊김 현상을 경험할 수가 있습니다.


또한 생방송이 끝난 이후 둘 다 방송을 저장해서 다시보기를 지원합니다만, 유튜브의 경우 이벤트(미리 시간과 성격을 정해놓고 하는 방송) 방송의 경우 8시간, 즉시 스트리밍을 통한 방송은 10시간까지 저장을 지원해 줍니다.(1440p 방송의 경우 4시간) 트위치는 딱히 시간제한이 있다는 얘기는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트위치의 경우 파트너는 90일, 파트너가 아닌 경우 14일까지만 방송 저장을 해줍니다. 그 이후에는 방송이 삭제되지만, 방송을 유튜브로 내보내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이 때때로 문제를 일으키긴 합니다만, 몇 번 시도하다 보면 결국 성공합니다.


그리고 두 서비스 모두 음악 저작권에 대해서는 강력합니다. 둘 다 실시간 스트리밍에서는 규제가 안되지만 다시보기에서 규제가 됩니다. 만약 저작권에 걸리는 음악이 있으면 트위치는 무조건 해당 부분을 음소거하는 대신 화면은 보여줍니다. 반면 유튜브는 노래에 따라 다른데, 어떤 노래든 동영상 전체에 적용됩니다. 어떤 노래는 특정 국가에서 재생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고, 어떤 노래는 아예 영상 전체가 음소거됩니다. 어떤 노래는 저작권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조건으로 그대로 서비스되기도 하고, 어떤 노래는 아예 동영상 자체가 차단됩니다. 노래 삭제라는 기능이 있긴 합니다만 잘 작동하진 않네요.


대중성으로 보자면 역시 게임 방송으로서는 트위치가 우위입니다. 유튜브에도 스트리머들이 많긴 하지만 트위치만큼은 아닙니다.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트위치는 평균 시청자 300명 이상의 방송인들에게 심사를 통해 월 수백 만 원의 월급을 줍니다. 이것도 스트리머들에게는 매력으로 다가올 수 있겠네요.


제 경우 얼마 전까지 트위치에서 방송하다가 이번에 유튜브로 옮겨왔는데, 그 이유가 트위치에서 유튜브로 동영상 내보내기를 굳이 안해도 유튜브는 자동으로 영상을 저장해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중간에 x264와 h264(NVENC)에 관한 얘기를 잠깐 했는데, 전자는 CPU를, 후자는 GPU를 쓰는 인코딩 방식인 것 같습니다. 둘 다 실험해 봤는데 CPU를 쓰는 방식은 아무래도 CPU에 열이 엄청나게 많이 가서 쿨러가 엄청나게 소음을 내더라구요. GPU를 쓰는 방식은 딱히 소음은 들리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연구실에서 컴퓨터로 방송을 할 때는 소리 때문에 후자를 쓰고있습니다. 정확히 어떤 게 좋은지는 직접 한 번 보고 판단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영상은 어제 한 첫 유튜브 방송입니다.


https://youtu.be/EesnUi8qpK4(유튜브에서 보기)


48분까지 NVENC 인코딩을 사용하다가 48분부터 끝날 때까진 x.264를 사용해 방송합니다. 화질은 1440p로 보시기 바랍니다.(그래야 비교가 돼요)

아무튼 이렇게 방송을 하기위한 두 프로그램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플랫폼의 경우 역시 대중성이나 수익성을 생각하면 아프리카가 좋지만, 게임 방송의 경우 화질이 중요하므로 트위치, 유튜브 역시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못된 정보나 궁금한 점이 있으신 분은 댓글을 통해 알려주시면 수정/답변하겠습니다.


'Info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전문 용어 정리  (0) 2017.03.13
우주쓰레기 국가 순위  (0) 2017.03.05
SYNONYM(동의어)  (0) 2017.02.20
차량번호 인식 Source 모음  (0) 2017.02.01
시부야케이(시부야계) : Mellow beat  (0) 2017.01.20